문정인 특보 학력 프로필 나이 종교 아들
본문 바로가기

뉴스

문정인 특보 학력 프로필 나이 종교 아들

반응형

문정인은 대한민국의 정치학자이다.

문정인은 연세대학교 명예특임교수로 2017년 5월 21일 문재인 정부 통일외교안보특보로 임명됐다. 동아시아재단 영문 계간지 《Global Asia》 의 편집인이기도 하다. 현재 캘리포니아대학 샌디애고 분교(University of California, San Diego) School of Global Policy and Strategy 의 Krause 석좌 연구원 및 Duke 대학 Asia-Pacific Studies Institute의 겸임교수로 있다. 또한 비핵화와 핵확산방지를 위한 아시아-태평양 리더십 네트워크 공동의장으로 있다. 연세대학교 국제학대학원장과 통일연구원장, 대통령자문 동북아시대위원회 위원장 (장관급)과 외교통상부의 국제안보대사직, 그리고 연세대 김대중 도서관장을 역임하였다.

문정인의 본관은 남평이며, 제주도 제주시 출생이다.

문정인 그는 제주북초, 오현중•고등학교를 졸업했으며 연세대학교에서 철학 학사, 메릴랜드 대학교 대학원에서 정치학 석사, 정치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문정인은 연세대학교에 부임하기 전에는 10여 년간 미국의 켄터키대학교(University of Kentucky)에서 정치학과 조교수와 부교수로 재직했다. 그리고 윌리암스대학교(Williams College), 듀크 대학 (Duke University), 그리고 캘리포니아대학 샌디애고 분교(University of California, San Diego) 등에서 방문교수를 지냈다. 그리고 일본 게이오 대학과 중국 북경대학 국제관계학원 초빙교수를 역임했다.​



“The Future of East Asia” (Palgrave-Macmillan, 2018) co-edited with Peter Hayes, ”Denuclearization and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Yonsei University Press, 2015), co-edited with Peter Hayes. ”다보스 이야기“ (와이즈배리 2014), “일본은 지금 무엇을 생각하는가?"(한국판 삼성경제연구소 2013년, 중국판 사회과학원 문헌출판사 2017), “The Sunshine Policy"(Yonsei University Press, 2012년)와 "중국의 내일을 묻다" (한국판 삼성경제연구소 2010년, 중국판 세계지식출판사 2012년) 등 60권의 국, 영문 저서와 편저가 있고 World Politics, International Studies Quarterly, World Development 등 국제 저명 학술지와 각종 논문집에 300여 편의 학술 논문을 게재한 바 있다.

문정인은 현재 SSCI에 등재된 12개의 국제저명 학술지의 편집위원이며, 미국국제정치학회 부회장과 한국평화학회 회장을 역임하였다. 또한 세계경제포럼(다보스 포럼)의 교수 요원으로서 본 포럼의 한국위원회 위원장을 지낸 바 있다. 미국 Woodrow Wilson Center 로부터 공공정책학술상 (1999년), 북경대학으로부터 Lixian Scholarship (2009년), 미국 캘리포니아 대학-샌디에고로부터 Pacific Leadership Fellowship (2010년)을 수여받았고 1, 2차 남북정상회담에 특별수행원으로 참석한 유일한 학자이기도 하다.

문정인
1951년 3월 25일 제주도 출생

학력
메릴랜드 대학교 대학원 정치학 박사
메릴랜드 대학교 대학원 정치학 석사
연세대학교 철학 학사

경력
-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명예특임교수
2006 글로벌아시아 편집인
2006~08 외교통상부 국제안보대사
2005~17 동아시아재단 이사
2004~06 한국평화학회 회장
2004~05 동북아시대위원회 위원장
2002 미국국제정치학회 부회장
1997 미국국제정치학회 이사
1995 듀크대학교 아시아태평양연구소 겸임교수
1994 연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정치외교학과 교수
1994 한국정치학회 국제위원장
1987 재미한국인 정치학회 이사, 사무총장
- 켄터키대학교 정치학과 부교수
1985 켄터키대학교 정치학과 조교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