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효상 건축가 학력 나이 고향 프로필
본문 바로가기

뉴스

승효상 건축가 학력 나이 고향 프로필

반응형

승효상은 대한민국의 건축가이다. 미술사학자 유홍준의 자택인 '수졸당'(1993), 노무현 전 대통령 묘역 (2010) 등을 설계하였다.

승효상은 부산에서 태어나 경남고등학교를 졸업하였다. 당시 경남고등학교는 한강이남 최고의 명문고라 불리었으며 승효상이 고교를 입학 할 때 수석 입학자는 현재 대한민국 제 19대 대통령인 문재인이었다.

승효상은 고교 시절 초기에는 '문과에 문재인, 이과에 승효상'이란 말이 있을 정도로 학업에 두각을 나타냈다. 1971년부터 1975년까지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공학과[1]에서 공부하였다. 대학교 졸업 이후 1974년 부터 1980년 까지 김수근의 '공간연구소' 설계실에서 일하면서 마산 양덕성당, 경동교회 등을 설계하였으며 1979년에는 서울대학교 건축학과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다. 그 뒤 1980년 광주민주화운동이 일어나자 건축과 세상문제의 사이에서 방황하던 그는 잠시 2년 간의 유학길에 올라 오스트리아 빈 공과 대학교에서 수학하였고 1981년에서 1982년 사이에 '마차트 뫼비우스 및 파트너 (Marchart Moebius und Partner)'에서 일하였다. 그러면서 아돌프 로스(1870~1933)의 로스 하우스에 큰 영향을 받게 된다. 그리고 다시 귀국하여 1982년 부터 1989년 까지 공간연구소 대표이사직을 맡는다. 1986년에는 김수근이 승효상과 장세양 두 제자에게 공간연구소를 맡긴다는 유언과 함께 30억의 빚을 남기고 타계한다.

승효상 그는 1989년에 공간연구소의 빚을 모두 청산하고 독립하여 건축사무소 이로재(履露齋)[3] 를 개설하였다. 그리고 1990년에는 민현식 등과 함께, 학연을 지양하고 자정 기능을 회복하는 한국 건축의 새로운 담론을 요구하는 젊은 건축가 14명의 모임인 '4.3그룹'을 결성하였다.[4][5] 이 시기 그의 대표적인 건축물로는 유홍준의 자택인 '수졸당'이 있는데 이것은 이후 그의 평생의 건축 철학이 되는 '빈자의 미학'을 구현한 첫 작품으로 꼽는다.[6] 그는 20세기를 주도한 서구 문명은 다시 동양의 비움을 찾고 있는데, 우리는 역설적으로 그러지 못하다고 비판하면서, 빈자의 미학이란 "가난한 사람의 미학이 아니라 가난할 줄 아는 사람의 미학"이며 "악다구니하는 한갓 조형물과 건조물로 가득 차고 만 근대 한국이 옛 종묘와 같은 어떤 형태의 사유와 모임도 가능하게 하는 '비움의 아름다움'을 회복해야한다"고 말하였다. 그리고 2009년에서 2010년 사이에는 봉하마을의 노무현 전 대통령 묘역을 설계하고 조성하였는데, 여기서도 화려한 묘역이 아닌, 추모글이 다 닳아 없어지고 기억만 남는 '비움의 설계'를 추구하였다. 또한 해외에서는 베이징 장성호텔, 아부다비 문화지구 전시관, 쿠알라룸푸르 복합빌딩 등을 디자인했다. 현재 그의 작업은 중국 내의 왕성한 활동을 포함하여 아시아와 미국, 유럽에 걸쳐있다.

그러는 동안 후학 양성을 위해 1994년 부터는 다음 세대의 건축학도들에게 필요한 '총체적이며 근원적인 사고'의 함양을 위해 이종호 등과 함께 포럼식의 '서울 건축학교 (SA)'를 운영하였다. 1998년에는 북 런던대학의 객원교수를 역임하고 서울대학교에 출강했으며, 한국예술종합학교에서 가르친 바 있다.

승효상 그는 김수근 문화상, 한국건축문화대상 등 여러 건축상을 수상하였으며 미국 건축가협회에서 명예상(Honorary Fellowship)을 수상하였다. 또한 건축가로서는 최초로 국립현대미술관에서 주관하는 ‘2002 올해의 작가’로 선정되어 '건축가 승효상 전'을 가졌다. 한국정부는 그의 한국문화예술에 대한 공헌을 기려 2007년 그에게 “대한민국예술문화상”을 수여했으며, 2008년 베니스비엔날레 한국관 커미셔너, 2011년 광주디자인비엔날레의 총감독으로 활약한 그는 2014년 서울시 총괄건축가로 선임되어 활동하고 있다.

문재인 정부의 국가건축정책위원회 위원장으로 재직 중이다.​



승효상
1952년 10월 26일 부산 출생

학력
비엔나 공과대학교
서울대학교 대학원 건축학 석사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경력
2018 국가건축정책위원회 위원장
2014 서울특별시청 총괄건축가
2011 제4회 광주디자인비엔날레 공동 감독
- 파주출판도시 코디네이터
- 한국예술종합학교 객원교수
- 서울건축학교 운영위원
2002 미국건축가협회 명예회원
1989 종합건축사사무소이로재 대표
1974 공간연구소 대표이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