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시민 노무현재단 이사장 학력 나이 아들 딸 알릴레오
본문 바로가기

뉴스

유시민 노무현재단 이사장 학력 나이 아들 딸 알릴레오

반응형

유시민은 대한민국의 정치인, 작가이다. 학생운동가 출신으로 제16·17대 국회의원과 노무현 정부의 보건복지부 장관을 지냈다. 2011년 국민참여당 대표를 거쳐 2012년까지 통합진보당 공동대표를 역임했다. 2013년 2월 정계 은퇴 후 전업 작가가 되었다. 2018년 노무현재단 이사장에 취임했다. 2019년 1월부터 팟캐스트 및 유튜브를 통해 〈유시민의 알릴레오〉 방송을 진행한다.​


유시민 은 1959년 7월 28일에 경상북도 경주에서 아버지 유태우와 어머니 서동필 사이에서 2남 4녀 중 2남으로 태어났다.조부 대에 이르러 안동에서 처가가 있는 경주로 이거하였다. 아버지 유태우는 경주여자고등학교의 역사 교사였다.큰아버지 유석우는 공무원으로 내남면 면장을 지내기도 했다.[3]유태우가 만주 소학교의 교직원으로 근무한 일은 후에 의혹으로 제기되었는데, 이를 두고 유시민은 "백부가 면장을 한 것은 맞지만 선친은 일제 치하 때 교사를 하지 않았다. 처음 듣는 얘기라 집안 어르신들께 확인해본 결과 선친은 해방 직후 미 군정이 교사 요원을 공채했을 때 동양사 분야에 응시해 합격했고 6개월 연수 후 경주여자중학교에 부임했다."고 말하며 관련 사실에 대해 해명했다.​



1980년 유시민은 서울대학교 총학생회 대의원회 의장이 되었다. 1980년 봄이 되면서 민주화 운동은 더욱 거세어졌고, 이는 5월 15일의 서울역 시위에서 절정에 이르렀다. 이 날 서울역 광장에 모인 수만 명의 학생들은 계엄해제와 신군부 퇴진을 요구하며 시위를 벌였는데, 18개 대학총학생회장단은 시위를 계속 할 것인가 아니면 일단 철수할 것인가를 놓고 격론을 벌였고, 서울대학교 학생처장 이수성의 설득으로 대학총학생회장단은 철수를 결정했으며, 심재철 서울대학교 총학생회장은 대학총학생회장단 대표자격으로 교육부 장관과 담판을 통해 학생들의 안전귀가를 약속받았고, 서울역 철수를 학생들에게 알렸다. 이 사건을 '위화도 회군'에 빗대어 소위 '서울역 회군'이라고 불렀다. 이후, 신군부는 5·17 비상계엄 전국확대 조치를 내렸다. 이 때 18개 대학총학생회장 중 신계륜 고려대학교 총학생회장 등은 철수를 반대했고 유시민도 '서울역 회군' 반대파에 섰다.

1980년대 유시민 그는 서울대 총학생회 복학생협의회 간부로 활동했으며, 민간인을 프락치로 몰아 감금 고문(물고문, 각목고문, 폭행 등)했던 1985년 '서울대 학원 프락치 사건'의 주모자로[6] <폭력행위 등 처벌에 관한 법률>을 위반한 혐의로 1심에서 징역형을 선고받았는데, 이에 대해 항소심 재판부인 서울형사지방법원 항소 제5부에 항소이유서 를 제출했고, 이 항소이유서를 계기로 세상에 이름을 널리 알리게 되었다. 이 항소이유서는 그의 저서인 《아침으로 가는 길》에 실렸다.

6.29 선언으로 전두환 정권이 노태우 정권으로 넘어가던 당시 유시민은 수배 중의 몸으로 뽀글이 파마로 위장하고 방송사를 출입했다. 유시민은 '유지수'라는 가명으로 1988년 3월 7일부터 4월 11일까지 방송된 MBC 월화 미니시리즈 8부작《그것은 우리도 모른다》란 멜로 드라마의 각본을 썼다. 유시민은 집필료에 대해 "회당 100만원 정도 받았으며 불법 유인물 만드는데 다 썼다."라고 밝혔다. 또한 1989년 3월 26일에 방송된 《MBC 베스트셀러극장》〈신용비어천가〉란 단막극의 각본도 썼다. 현길언 원작소설을 각색한 것으로 이 때는 가명이 아닌 본인 이름으로 방송됐다. 해당 작품은 5공 신군부의 언론통제, 기자에 대한 협박, 회유 등을 다룬 것으로 영화배우 문성근의 텔레비전 드라마 데뷔작이기도 하다.[7]

1997년 언론인으로서 활동하면서 '97대선 게임의 법칙'등을 저술하며 "김대중의 대통령 당선 확률은 제로에 가깝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당시 책에서 그는 "김대중은 직접 출마하기보다는 제3의 후보인 조순 서울시장을 대리전으로 내세워야 한다"고 주장했다.[8]

1999년 12월 6일자 <유시민의 세상읽기-김대중 대통령님께> 라는 《동아일보》 칼럼에서 "대통령에 대한 국민의 지지는 바닥을 치고 있으며 집권당 국민회의는 '수평적 정권교체'의 기쁨을 맛본 지 불과 2년 만에 간판을 내리게 됐다"며 "대통령의 눈과 귀를 가리는 '인의 장막'을 경계하는 지식인들의 목소리에도 귀를 기울이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1999년부터 2001년까지 성공회대학교 교양학부 겸임교수로서 활동했다. 제18대 총선때 대구 수성구에서 낙선한 이후 2008년부터 2009년까지 경북대학교에서 인문사회자율전공 개설 교양 과목이었던 '생활과 경제' 과목 강의를 맡았다.

반응형